본문 바로가기
AI/AI사용법

AI그림사이트 미드저니 사용법 : AI그림사이트 settings 메뉴 알아보기

by 재테크AI TUTU 2023. 9. 15.
반응형

 

 

미드저니 사용법

 


프롬프트 생성기

아래 추천하는 페이지를 통해 프롬프트 작성에 필요한 도움을 받아보세요.
특히, 필요하지 않은 내용을 제외해 더욱 세밀한 프롬프트를 만드는 부정프롬프트 기능도 활용 가능합니다.

더 깊게 알아보고 싶다면,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과 사용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신의 그림 생성 경험을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보세요!

 


미드저니 사용법 - /settings 명령어로 모델 버전 선택하기

AI그림사이트 미드저니 사용법의 핵심 중 하나는 /settings 명령어를 통해 모델 버전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최신 모델을 사용하거나, 특정 버전의 미드저니 모델이나 니지 모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은 작품의 스타일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기본적으로 항상 최신 버전의 미드저니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항상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정 버전의 미드저니 모델이나 니지 모델을 선택하여, 작품에 특별한 터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 사용법
미드저니 사용법

미드저니 사용법 - 스타일 매개변수 조절하기

다음으로, 미드저니 사용법에서 중요한 부분은 스타일 매개변수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아트 작품의 색상, 구성, 형태에 대한 훈련을 얼마나 강하게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style raw 매개변수
5.1 및 5.2 버전에서 미드저니 기본 미학을 줄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 사용법

--stylize 또는 --s 매개변수

아트 작품의 색상, 구성, 형태에 대한 훈련을 얼마나 강하게 적용할지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값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tylize Low: --s 50
  • Stylize Med: --s 100
  • Stylize High: --s 250
  • Stylize Very High: --s 750

미드저니 사용법
미드저니 사용법

 

미드저니 사용법 - 모드 선택과 사용자 정의 설정

마지막으로, AI그림사이트 미드저니 사용법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은 모드 선택과 사용자 정의 설정입니다. 여기서는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 정의 설정을 통해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모드 선택

  • Public and Stealth Mode: 작업을 공개적으로 공유하거나 개인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 Remix Mode: 기존 이미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작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설정이나 조명을 변경하거나, 주제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High and Low Variation Mode: 작업의 다양성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 Turbo, Fast, and Relax Mode: 작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각 모드는 /turbo, /fast, /relax 명령어와 --turbo, --fast, --relax 매개변수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Custom Preferences
    /prefer 명령어를 통해 자주 사용하는 매개변수를 프롬프트 끝에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옵션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최대 20개의 사용자 정의 옵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여러 매개변수를 프롬프트 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 사용법
미드저니 사용법

AI그림사이트 미드저니 사용법을 통해 /settings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을 마스터하면, 미술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미드저니 사용법 : 미드저니 프롬프트 작성 가이드

미드저니 기본 프롬프트 작성 단순하고 짧은 문장 사용: 단일 단어, 구문, 이모지로 미드저니프롬프트를 시작하세요. 긴 요청 목록을 피하고 단순하고 짧은 문장을 사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명

noman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