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단독] 비만약으로 뜬 당뇨약, 한달간 공백기 온다

by 재테크AI TUTU 2023. 9. 12.
반응형

 

오늘의 주요 뉴스

오늘의 주요뉴스

 

1. 비만

[단독] 비만약으로 뜬 당뇨약, 한 달간 공백기 온다

  • 공급난을 겪던 이른바 살 빠지는 당뇨약이 이달 말부터 최소 한 달간 아예 공급이 끊길 것
  • 제2형 당뇨병 환자가 쓰는 '트루리시티'는 먹는 약으로 혈당 조절에 실패한 환자들이 맞는 glp-1 계열 주사치료제
  • 지난해 이 약의 원외처방금액은 547억 원으로 국내 환자수는 약 4만 명 당뇨병 이외에 체중 감량 목적 등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제약사의 공급이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

기사원문으로 이동

 

 

2. 리튬

[단독]“中 자원의존 줄여라”… 韓, 리튬 추출기술-희토류 뺀 전기차 개발

 
  •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리튬 및 희토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2023년 상반기부터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 개발 및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포스코는 아르헨티나와 호주에서 리튬 광산을 확보하고, '직접 리튬 추출(DLE)' 기술 개발에 착수하여 기존 12~18개월의 리튬 추출 시간을 몇 시간 며칠로 단축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현대자동차그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전기차 구동 모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한편, 한국 정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핵심 전략 기술 확보와 광물 자원 의존도 감소를 위해 베트남, 인도네시아와의 기술 협력을 확대하며 대규모 예산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기사원문으로 이동

 

3. 양자기술

요소수 악몽도 끔찍한데…中 수입 끊기면 '생필품 대란' 온다 ;

  • 2023년,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과 정부들이 양자컴퓨터 기술을 개발하며 경쟁하고 있습니다.
  • 양자컴퓨터는 기존 디지털 컴퓨터의 연산 성능을 압도하며, AI, 신약 개발, 우주 탐사, 군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미국 IBM과 구글은 양자컴퓨터의 계산 오류 문제를 해결하며 상용화의 길을 열었고, 다양한 기업들은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연구와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 전 세계적인 경쟁에서 다소 뒤처져 있지만, 정부와 기업들이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에 힘쓰며, 2035년까지 4대 양자 강국에 진입할 목표를 세우고 3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사원문으로 이동

 

4. 자율주행

테슬라 10% 폭등… ‘슈퍼컴·자율주행 AI’ 기대감 폭발 [美 증시 & IT]

  • 미국 증시에서 테슬라의 주가가 10.09% 상승하여 273.58달러에 마감했습니다.
  • 이 폭등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테슬라의 AI 자율주행 기술과 그것을 지원하는 슈퍼컴퓨팅 기술 '도조'(Dojo)를 높게 평가하고,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250달러에서 400달러로 상향 조정했기 때문입니다.
  • 모건스탠리는 테슬라가 이 기술을 통해 시장 가치를 6000억 달러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미국 증시는 테슬라의 급등에 힘입어 나스닥을 중심으로 모든 주요 지수가 상승하여 마감했습니다.
  • 이러한 상황은 전기차 판매 실적이 아닌,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원문으로 이동

 

 

5. 로봇

달리는 로봇… 두산로보 '따따블 1호' 도전

  • 두산로보틱스가 곧 상장을 앞두고 있으며 상장 첫날에 공모가의 400%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습니다.
  • 상장 첫날 가격 제한 폭은 공모가의 60~400%로, 이 범위 내에서 주가가 결정됩니다. 두산로보틱스는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보다 상반기 매출이 3배 이상 높으며, 높은 시가총액을 정당화할 수 있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로보틱스가 국내 최대 협동로봇 기업으로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기사원문으로 이동

 

 

6. 반도체

“반도체 이젠 패키징 경쟁”… 투자 열 올리는 삼성·SK

  • 반도체 후공정인 패키징 기술 분야에서 SK와 삼성이 투자를 확대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SKC는 미국 반도체 패키징 스타트업 '칩플렛'에 투자해 회사 지분 12%를 확보할 계획이며, SK하이닉스는 15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첨단 패키징 및 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 한편 삼성전자도 올해 18억 달러의 패키징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 시장 조사업체 욜 그룹은 반도체 패키징 시장이 2028년에 257억 7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사원문으로 이동

 

 

 

반응형

댓글